지방 쓰는 법
01. 전통식
· 길이 2자 *약 60cm) 너비 2자 6치 (약 78cm)의 백지를 12간으로 접어 접어진 선 11개를 오른쪽에서부터 1~11 까지 번호를 가정한다.
· 오른쪽부터 1년과 2선을 연겹쳐 왼쪽으로 접고 3선은 건너뛰고 4선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의 부분을 오른쪽으로 접는다. 5선을 기준하여 다시 왼쪽으로 접으면 6, 7, 8, 9, 10, 11 선이 보인다.
· 이것을 접어진 그대로 뒤집어서 6선을 왼쪽으로 싸서 접으면 7, 8, 9, 10, 11 선이 남는다.
· 위, 아래의 점선을 접고 다시 8선과 10선을 오른쪽으로 접은 뒤 11선을 안으로 끼워 넣으면 완성된다. 동그라미가 쳐진 번호의 선은 접하지 않는다.
02. 현대식
· 고인의 사진으로 대신하거나 현대식의 지방을 써 붙인다. 지방은 너비 6cm,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나 백지 위에 먹으로 쓴다.
03. 접는 법
04. 완성된 모습
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‘府君(부군)’이라고 쓰며,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(사례에서는 ‘김해 김씨’)를 쓴다.
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(사례에서는 ‘길동’)을 쓴다.
(출처 : 네이버 지식백과)
모든상조 | 대표 : 안세영 | 사업자등록번호 : 106-96-51566
전화번호 : 1644-4551 | 이메일 : funeraloner@naver.com
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로 78, 601호(온천동, 스카이젠)
COPYRIGHT ⓒ모든상조. ALL RIGHTS RESERVED.
모든상조 | 대표 : 안세영 | 사업자등록번호 : 106-96-51566 | 전화번호 : 1644-4551 | 이메일 : funeraloner@naver.com
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로 78, 601호(온천동, 스카이젠)
COPYRIGHT ⓒ 모든상조. ALL RIGHTS RESERVED. DESIGN BY [ENOUGHM]
고객센터
1644-4551